수족구병은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주로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질병은 손, 발, 입에 발진과 물집을 유발하며, 일반적으로 경미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때때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증상

  1. 발진
  • 손과 발에 작은 붉은 발진이 생기며, 이 발진은 물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발진은 손바닥, 발바닥, 그리고 엉덩이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구내염

  • 입 안, 특히 혀와 뺨 안쪾에 물집이 생기며, 이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식사나 음료를 섭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3. 발열

  • 초기 증상으로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식욕 부진

  • 입안의 통증과 발열로 인해 어린이가 음식을 먹는 것을 꺼릴 수 있습니다.

5. 피로감 및 불쾌감

  • 일반적으로 피로감과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추가 증상

  • 두통 : 일부 환자는 두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목 통증 : 구내염으로 인해 목이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 근육통 : 전신에 걸쳐 근육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족구 병원체와 전파경로

병원체

주원인은 콕사키바이러스 A16형이며 그 외에 엔테로바이러스 71형, 콕사키바이러스 A5, A6, A7, A9, A10형, 콕사키바이러스 B2, B5형 등도 원인이 됩니다.

전파경로

  • 직접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사람 간 전파
  •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 전파 가능
  • 전파의 위험이 높은 장소 : 가정(감염자가 있는 경우), 보육시설, 놀이터, 병원 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

수족구 예방 및 관리

  • 위생 관리 : 손 씻기와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켜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격리 : 감염된 어린이는 다른 어린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전파를 막아야 합니다.
  • 수분 섭취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족구병은 대개 경과가 좋고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심해지거나 합병증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neareyes

Recent Posts

제106회 전국체전 개요 및 경기일정

제106회 전국체육대회는 2025년 10월 17일부터 10월 23일까지 7일간 부산광역시 일원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전국체전이 열리는…

1주 ago

삼성전자 주가 전망 분석

삼성전자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핵심 기업으로,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꾸준히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삼성전자…

3개월 ago

1등급 가전 환급 방법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3개월 ago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및 신청방법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과 신청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취업 환경 속에서 자기계발과 직업능력 향상은…

5개월 ago

2025 첫만남이용권 지원자격 및 지원금

2025년 첫만남이용권은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생애 초기 아동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핵심…

5개월 ago

대통령 4년 중임제 연임제 뜻과 차이

현재 한국은 5년 단임제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최근 정치권에서 '4년 중임제'와 '4년 연임제'에 대한 논의가…

5개월 ago